2023. 9. 18. 16:09ㆍDaily
23.09.05 화요일
구름이 피어나다
퇴근길에 뭉개구름
흰구름
노을빛에 붉은구름
점검 커지는 뭉게구름
뭉게구름에 대해서 알아보자!
- 뭉게구름은 한국어로 구름이 모여 덩어리진 형태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뭉게구름은 대기 중에서 수증기가 응결하여 생긴 구름으로, 주로 비 또는 천둥 번개와 관련된 날씨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뭉게구름은 보통 날씨 변화를 예고하는 신호로 간주됩니다. 그들의 모습과 특징은 주로 하늘에 있는 구름의 종류와 조건에 따라 다릅니다. 예를 들면, 크고 어두운 뭉게구름은 폭우나 천둥 번개가 발생할 수 있는 징조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구름의 모습만으로 정확한 날씨 예보를 제공하기는 어렵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기상 전문가들이 추가적인 데이터와 정보를 분석하여 정확한 예보를 제공합니다.
뭉게구름은 이제 그만 알아보자...
구름 한점 없는 하늘보단 구름이 좀 있는 하늘이 이쁘다. 늙어가나보다.
그럼 구름은 어떻게 생성되는지 알아보자!
-구름 생성은 대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되어 작은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으로 형성되는 과정입니다. 구름 생성에는 다음과 같은 원리들이 작용합니다:
1.수증기 포화: 대기 중에는 항상 수증기가 존재하며, 온도와 압력에 따라 그 양이 다릅니다. 특정 지점에서 대기의 상대습도가 100%에 도달하면, 그 지점은 수증기 포화 상태입니다.
2.응결핵: 구름 생성을 위해서는 응결핵이 필요합니다. 이는 공기 중의 먼지, 염사, 화산재 등 작은 입자로서, 수증기가 이러한 입자 위에 응결하여 구름 조각을 형성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3.상승 기류: 대부분의 구름은 상승 기류(예: 온난한 공기의 상승)로 인해 형성됩니다. 상승 기류는 대류운동, 전선, 산악 효과 등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4.냉각: 공기가 상승하면 압력이 낮아지면서 팽창되고, 팽창하는 과정에서 주위 환경보다 냉각됩니다. 이러한 냉각으로 인해 수증기 분자들이 서로 충돌하여 응결체를 형성합니다.
5.섭씨 0도 이하: 일부 구름은 영하 온도에서 얼음 결정으로 직접 형성됩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운동 에너지와 슈퍼쿨드룬트(수증기가 어디서든 바로 얼어버리지 않고 아주 찬 곳에서만 응결된다)와 같은 특수한 조건이 필요합니다.
구름 생성 원리는 복잡하고 다양한 요소들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설명됩니다. 실제 날씨 조건과 지역적인 환경에 따라 구름의 종류와 모습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몇년전에 스카이 다이빙을 했었다. 그때 구름을 뚫고 나와서 눈밑에 도시의 아름다움은 잊을수가 없었다!
이것도 난중에 작성해놔야겠다
'Dail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메가시계 오버홀 접수 (0) | 2024.01.08 |
---|---|
아이와 함께 옥토끼 우주센터 (1) | 2023.12.04 |
아이와 함께 아쿠아플라넷 일산 (0) | 2023.11.27 |
부천 레노부르크 뮤지엄 (0) | 2023.11.06 |
23.10.05 가을음악회 드론쇼 (0) | 2023.10.10 |